RE100은 국제단체인 'CDP 위원회' 등이 주도로 기업(법인)이 2050년까지 사용 전력의 100%를 재생에너지로 사용하겠다는 자발적 캠페인이다. 참고로 RE100을 위해 환경단체 The Climate Group과 영국 비영리단체 CDP(Carbon Disclosure Project)가 2014년 발족돼 활동을 벌이고 있다.RE100 참여 대상은 연
트램(tram)은 도로에 깔린 레일 위를 주행하는 교통 수단으로, 유럽, 북미 등 주요 도시에서 대중적인 교통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트램은 탄소배출이 낮고 교통 에너지 절감 측면에서 우수하며, 교통약자가 이용하는데 편리한 장점을 두루 갖추고 있어 ‘친환경 신교통수단’으로 각광받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2016년부터 도시철도법 등 트램 도입에 필요한 관련
생태계 균형에 교란을 가져오거나 가져올 우려가 있는 야생동·식물(외래종)을 평가기준에 따라 관련 생물종의 특성과 영향을 체계적으로 검토해 평가하는 것을 말한다.야생동·식물보호법 제5조의2 및 같은 법 시행규칙 제4조의2에 따르고 있다.여기서 '외래종'이란 외국으로부터 인위적 또는 자연적으로 유입돼 그 본래의 원산지 또는 서식지를 벗어나 생육하게 된 생물
수질오염총량관리제는 수계구간별 목표수질을 정하고, 그 목표수질을 달성·유지하기 위해 오염물질의 배출 총량을 관리하는 제도다.1990년에 현행 '환경보전법'에서 수질보전관리조항을 분리해 '수질환경보전법'이 제정되면서 수질오염총량제가 도입됐으며, 현재는 '수질환경보전법'이 개정된 '수질 및 수생태계에 관한 법률'에 의해 시행(2004년)되고 있다
남세균(Cyanobacteria)은 엽록소를 가지고 있어 짙은 청록색을 띠고 있으며 세균 중 유일하게 산소를 생산하는 광합성 세균이다. 과거에는 녹색식물로 간주했지만 원핵생물의 특징을 가지고 있는 독립된 세균이다. 남조류(blue-green algae)라고도 부른다.부영양화 등 환경적 요인에 의해 개체수가 급증하면 녹조 현상의 주요 원인이 되기도 한다. 환
초순수(超純水, Ultra pure water)는 물 속에 포함된 불순물(전해질, 유기물, 미생물, 생균, 미립자, 부유고형물 등)들을 극히 낮은 값으로 억제한 이론순수에 가장 근접한 물을 말한다.물은 식염뿐만 아니라 우라늄 등 중금속이나 미네랄, 산소, 이산화탄소 등 가스 종류도 녹아들어 있을 정도로 각종 물질을 포함하고 있다.그런데 연구기관 등에서 의약
ABS는 생물다양성 협약의 3번째 목적인 “유전자원의 이용으로부터 발생하는 이익의 공정하고 공평한 공유”와 관계돼 있는 “유전자원의 접근 및 이익공유 (Access to genetic resources and Benefit Sharing)”의 줄임말이다.지난 2010년 열린 제10차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 총회에서 '나고야의정서'가 채택되며 부각된 국제규
식품을 제조·가공 또는 보존하는 과정에서 식품에 넣거나 섞는 물질을 말한다. 식품을 적시는 등에 사용되기도 한다.다시 말해 식품첨가물은 식품 제조시 △ 보존기한 연장 △ 착색 △ 단맛 부여 △ 식중독 예방 등 다양한 기술적·영양적 효과를 얻기 위해 의도적으로 사용하는 물질을 말한다.우리나라는 1962년에 식품위생법을 제정하면서 217품목의 식품첨가물이 최초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제도’는 개별업체별로 연간 ‘에너지 사용량’과 ‘온실가스 배출허용량’ 목표를 설정하고 이행을 점검하는 제도다.2009년 11월 17일 국무회의에서 우리나라의 중기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202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전망치(BAU)대비 30%를 감축하기로 발표했다.이에 따라 2010년 1월 13일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이 제정,
온실가스감축계획(NDC, 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은 파리 당사국 총회(COP21, 2015.12월)를 통해 각국에서 제출한 2030년까지의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설정한 계획을 의미한다. 때문에 ‘2030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로 불리기도 한다.NDC는 또 각 국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 등을 담았다고 해 ‘국가기여목
자연기반해법(NbS, Nature-based Solution)은 생태계를 보호, 지속가능하게 관리, 복원해 기후변화, 식량, 물 재해위험, 건강, 생물다양성 등 사회문제를 효과적, 적응적으로 해결하고 동시에 인류복지와 생물다양성 혜택을 얻는 것(IUCN, 2016)을 의미한다.최근 유럽연합(EU), 세계자연보전연맹(IUCN),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
기업의 경제적 이윤을 목적으로 친환경적 특성을 허위·과장해 상품을 광고 또는 홍보하거나 포장하는 행위는 일명 ‘그린워싱(Green Washing)’이라 한다.‘그린워싱’은 '그린(Green)'과 '화이트 워싱(White Washing)'의 합성어로, 소비자들의 친환경제품 구매가 증가하면서 이에 편승해 기업들이 인증받지 않은 제품을 '녹색 제품'으
‘그린리모델링’은 단열성능 향상, 창호교체 등을 통해 노후 건축물의 에너지성능을 개선하고, 동시에 쾌적하고 건강한 주거환경을 창조하는 리모델링을 말한다.‘녹색건축물 조성 지원법’에 따라 추진되고 있는 ‘그린리모델링 사업’은 건축주가 에너지 성능 개선 공사비를 은행에서 대출받고, 공사완료 후 절감되는 냉·난방비로 사업비를 장기간에 걸쳐 상환토록 하는 사업이다
우리나라가 개발한 저궤도 실용위성 발사용 3단계 로켓이다.향후 개발할 중궤도 및 정지궤도 발사체와 대형 정지궤도 발사체의 기술적 기반이 될 예정이라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지난 2010년 3월부터 2022년 10월까지 예산 총 1조 9,572억원이 투입된다.우리나라는 지난 2018년 11월 28일 오후 4시 누리호의 엔진 시험발사체 발사에 성
고형연료제품(Solid Refuse Fuel, SRF)은 기존에 단순 소각 또는 매립하던 폐합성수지, 폐고무, 폐목재 등을 수송성과 저장성, 연소 안정성을 향상시켜 석탄 열량(4,000∼5,000㎉/㎏)과 유사한 수준으로 자원화한 것이다.코르크나 펠릿 형태로 제작돼 화력발전소 등의 보조연료로 사용되는 재생에너지라 할 수 있다.SRF는 발열량이 높은
유황성분이 1% 이하인 기름(원유)을 말한다.반면 고유황유(高硫黃油)는 벙커C유로 대표되며, 연료에 함유된 황이 2% 이상인 유류를 말한다. 선박용, 보일러, 발전 설비, 소각로 등에 사용된다일반적으로 미국이나 아프리카산 원유는 유황 함유량이 적고, 사우디아라비아나 중동지방의 원유는 유황 함유량이 많은 편이다.유황 함유량이 많은 기름이 연소되면 아황산가스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는 기후변화를 논의하는 UN 회원국 정부간 기구로서 195개 회원국의 과학자들이 기후변화 분야의 과학연구 결과를 취합·정리해 정책결정자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지난 1988년 세계기상기구(WMO)와 유엔환경계획(UNEP)이 공동으로 기후
살모넬라는 식중독(Salmenella spp.) 원인균으로 오염된 계란, 쇠고기, 가금육, 우유가 주요 원인이 된다.주로 사람과 동물의 장에 서식하며, 질병을 일으키지 않는 일부 종을 제외한 대부분의 종들이 사람에게 심각한 영향을 끼치는 병원균이다.살모넬라 식중독은 오염된 물과 음식(난류, 육류 등) 등을 통해 감염되며, 발열, 두통, 오심, 구토, 복통,
일본뇌염은 매개모기인 작은빨간집모기 암컷에 의해 발병한다.제2군 법정전염병으로 일본뇌염 바이러스를 가지고 있는 작은빨간집모기에 물렸을 경우 혈액내로 전파되는 바이러스에 의해 신경계 증상을 일으키는 급성 전염병이다.일본뇌염은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발생 위험성이 증가되고 있으며, 아시아 지역에서만 매년 6만 명 이상이 감염돼 1만명 이상이 사망하는 무서운 질병
나고야의정서는 2010년 일본 나고야에서 열린 생물다양성회의에서 채택돼 2014년 국제발효됐다. 우리나라는 2017년 8월 17일 당사국이 됐다.나고야의정서는 유전자원(생물자원)을 이용하기 전에 제공국에 사전승인을 받고, 발생한 이익은 공유하도록 하는 국제협약이다.이 협약에 따라 당사국들은 유전자원에 대한 접근(Access), 이용·이익공유(Benefit-